깊은 산골 지형에서 의병들이 일본군에 맞서 싸우며, 독립운동의 활약을 펼치던 시절, 일본군은 회유 작전을 실행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 작전은 의병들을 독립운동에서 전향시키려는 것이었고, 그들을 유혹하기 위해 가족들을 이용하라는 지시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홍범도 장군의 부인인 이옥녀 여사는 일본군의 협박에 단호하게 대응했습니다. 그녀는 말하였습니다.
"계집이나 사나이나, 영웅호걸이라도 실끝같은 목숨이 없어지면 그뿐이다. . 내가 글을 쓰더라도 우리 가족의 영웅은 회유에 응하지 않을 것이다. 너희는 나를 강요하지 마라. 나는 항복하지 않는다."
이러한 강한 의지로 이옥녀 여사는 모진 고문과 협박에도 불구하고 굴하지 않았으나, 결국 고문 후유증으로 인해 철창 안에서 세상을 떠났습니다.
일본군은 이옥녀 여사가 쓴 것처럼 조작한 편지를 홍범도 장군에게 전달했습니다. 그러나 편지를 전달하러 간 전령들은 모두 돌아오지 않았고, 다 죽임당했습니다.
그리고 마침내 9번째로 편지를 전달하러 간 사람은 홍범도 장군의 큰아들 홍양순이었습니다. 홍양순은 편지를 가지고 깊은 산속으로 들어갔지만, 갑자기 숨겨져 있던 의병들이 나타나 총을 겨누었습니다.
홍범도 장군은 일본군이 보낸 전령이 자신의 장남임을 알게 되어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 분노와 혼란 속에서 그는 총을 쏘았지만, 홍양순을 살려내기 위한 마음이 들어 홍양순의 귀만 스칩니다.
홍양순은 귀를 다치고 나서도 결국 회복하여 아버지의 의병 대열에 합류했습니다. 그는 단 17세의 소년이었지만, 아버지와 함께 여러 전투에 참전했습니다. 함흥신성리전투, 통패장 골쇠점거리전투, 하남안장터전투, 갑산간평전전투, 구름을령전투, 괴통병어구전투, 동사다랏치금광 전투 등의 전쟁에서 힘을 발휘했습니다.
그러나 홍양순의 활약은 1908년 6월 16일 정평바맥 전투가 마지막이었습니다. 이 전투에서 홍양순은 많은 일본군을 상대로 107명을 처치하고 전사하였으며, 그의 의병 동료 6명은 목숨을 잃었고, 8명은 중상을 입었습니다. 홍양순의 아버지 홍범도 장군은 자신의 아들이 5월 18일에 투쟁 중에 목숨을 잃은 것을 매우 슬퍼했습니다.
초기 의병들이 모일 당시에는 뜻이 크고 재산이 풍부한 양반세력들이 주축이 되었습니다. 이들은 자신들의 재산을 투자하여 만주 지역에서 땅을 구매하고 건물을 세우는 등의 활동을 펼쳤습니다. 또한, 이 중 일부는 학교에서 역사를 가르치며 지식을 전수하는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착호갑사와 산포수들은 초기 의병 운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았습니다. 그들은 기초군사훈련과 실제 전투에서의 진두지휘를 담당하여 의병들을 훈련시키고 이끌었습니다. 조선의 착호갑사(호랑이 잡는 부대) 산포수 출신이었던 홍범도 장군도 여기서 큰 역할을 해주었습니다. 호랑이를 잡기 위해서는 산 지리에 정통해야 하는것이 필수적이었습니다. 의병들은 팀을 구성하여 몇 날 며칠 동안 산속에서 생활하면서 생존 능력을 향상시켰습니다. 혼자 떨어졌을 때도 살아남는 방법을 알고 있어야 했으며, 호랑이를 발견하면 가까이 다가가서 명중시키는 훈련을 했습니다.
이러한 뛰어난 능력을 갖춘 의병들이 모여 있었기 때문에 일본군은 쉽게 접근하지 못했습니다. 의병들은 이렇게 뼈를깍는 훈련을 통해 실력을 쌓아 목숨을걸고 일본군을 물리쳤으며, 일본군들은 이들에게 가족이나 친구를 보내어 회유할려고 시도했지만, 이들의 저항력과 능력 앞에서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이러한 이야기는 독립운동의 극적인 순간 중 하나로, 가족의 희생과 힘으로 함께 싸운 용감한 독립운동가들의 이야기입니다. 이들은 일본의 무자비한 지배에 맞서 가족과 자신을 희생하면서까지 조국의 독립과 자유를 위해 투쟁한 영웅들로 기억되어야 합니다.